'보컬로이드 오리지널 곡'의 제목들

'보컬로이드 오리지널 곡'의 제목은 정말 호기심 유발이 잘 되게 지어진 것 같다
뭐야 저게? 싶어서 검색해 보고 싶게 지어놨음...

그러면서도 감성적인 느낌까지 갖췄군.
- 뭐랄까 약간 세카이계 감성? 고스로리 감성? 피터팬 컴플렉스 감성?
- '질병', '신드롬', '불행', '피해망상' 같은, 자기 마음이 병들어 있다는 걸 주장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군.
- '물거품', '6조 년' 같은 단어를 보면, '덧없음'과 '아득함'도 주요 감성 중 하나군.

'인생 리셋 버튼'
'사과팔이 물거품 소녀'
'애매한 노래'
'이금의 양양 이 형광에 있으리'
'이상한 장난감 강가라딩동'
'과거형으로 만들 수 있나요'
'원통해라 야호'
'불행가게 아가씨'
'얼간이 멍청이 이상한 사람 기행'
'6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레트로 마니아 광상곡'
'뒤집힌 묘비의 네오마리아'
'상냥한 귀신 이야기'
'당신과 나의 어사일럼'
'들에 나뒹구는 목, 오니가시마에서'
'해적 F의 초상'
'공의존 신드롬'
'사과 불꽃과 소다의 바다'
'내일의 밤하늘 초계반'
'거품 상자에서 춤춘다'
'갯나리 해저담'
'벌레 먹은 사이키델리즘'
'피해망상휴대여자(웃음)'
'아야노의 행복이론'
'공상 소녀에게 보내는 연애편지'
'부부가 된 안드로이드에게'
'깊고 먼 바다, 만리의 모래'
'고양이귀 스위치'
'엔비자카의 재봉사'

분명히 얘네들... 곡 제목 지을 때 엄청 심사숙고해서 짓는다. 확실하다.
제목을 뭐라고 지어야 조회수가 더 높아질지 고려해서, 그러면서도 너무 천박해지지 않게 신경써서. 그렇게 제목을 짓는 것 같군.
 
대체 왜 제목을 헷갈리게 짓는 거냐
SSSS 다이나제논 보다가 포기함
소용돌이 애니판은 대체 언제 나오는 거냐고~
어이어이 기다리고 있다제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는... 스토리나 캐릭터디자인은 정말 내 취향과 멀지만
음악은 정말 좋군
'보컬로이드 오리지널 곡'의 제목들
일본의 20세기 애니메이션 '아키라'는 왜 그렇게 고평가를 받는 거지
영상미가 좋기 때문인가?
내용 자체는 별 거 없어 보이던데...
은혼 1권을 한 번 더 봤다
몇몇 일본 만화의 제목 패턴
'사춘기 르네상스 다비드군'이라는 만화의 1화를 봤다.
그냥 '웃긴 그림체로 승부하는' 개그 만화 같더라. 화장실 개그도 좀 섞은...
그나마 좋았던 부분은, 우연한 사고로 '명화 속 한 장면'이 정확하게 재현되는 상황들. 그런 것들은 그럭저럭 참신하고 재미있었다.
근데 그것도 몇 번 반복되면 질릴 듯
언제부턴가 일본 만화에서 '갸루(양아치녀)'가 주인공인 사례가 자주 보이는군.
대체 왜지? 그냥 츤데레는 이제 질려서, '갸루인데 데레데레한' 걸 원하는 건가?
게다가 현실적인 갸루가 아니라 엄청 미화되고 마음 착한 갸루야...
그렇게까지 변형시킬 거면 애초에 갸루를 등장시킬 필요가 있나?
심심해서 아키네이터(https://kr.akinator.com/game)를 하면서 놀았는데, 답을 정말 못 맞추는구나...
답이 뭔지 짐작이 안 가서 괴로워하는 표정을 구경하는 재미는 있군
헌터x헌터는 명작이긴 한데, 친절한 만화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림도 스토리도 연출도 다 굉장하지만(특히 연출), 내용 디테일을 전부 하나하나 이해하며 짚어가면서 보기엔 좀 귀찮고 머리아프더라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요리왕 비룡 신 애니판 - 진 중화일번
섬광의 하사웨이의 '크시 건담' 너무 멋지다?
갖고 싶다?
옛날 그림체들
오가와 코우신 - 엠브리오
격투게임의 캐릭터성
일본 만화 특유의 진입장벽 중 하나는 '사람 이름' 같다
상대방을 성으로 부를 때도 있고, 이름으로 부를 때도 있고, 이름을 변형해서 부를 때도 있는데, 그걸 전부 기억하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게다가 대체로 ㅏㅣㅜㅔㅗ 소리로 구성돼 있으니, 일본식 이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보기에는 그 이름이 그 이름처럼 보일 것이다...
오시미 슈조 = 아사노 이니오 = 미네나미 료
이 셋은 만화의 감성과 분위기가 서로 아주 닮아 있다
이 셋 중 하나를 좋아하면 나머지 둘도 좋아할 가능성이 꽤 높을 것이다